포스팅에 앞서 내용이 틀릴 수 있습니다. 해당 부분 지적 감사히 받습니다. 문제를 보자. 문제 설명이 길다. 사실 하나도 안 읽어 보고 입력과 출력 테스트 케이스만 보고 풀었다. 코드 import sys as s a = int(s.stdin.readline()) for i in range(a): print(sum(map(int,s.stdin.readline().split())),end='\n') 처음 map() 함수를 씌우지 않고 int() 함수로 씌웠을 때 오류가 발생했다. 오류 발생 이유는 int() 함수는 인자를 한개만 받을 수 있다. 따라서 map()함수로 바꿔주니 문제가 해결되었다. 배운 점 1. int()는 인자를 한 개만 받을 수 있다.
포스팅에 앞서 내용이 틀릴 수 있습니다. 해당 부분 지적 감사히 받습니다. 문제를 보자. 이 문제를 풀며 파이썬에서 랜덤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혀야겠다 생각했다. 코드 import random array = [] sum = 0 memory = [] for i in range(9): array.append(int(input())) while True: random.shuffle(array) for i in range(7): sum += array[i] memory.append(array[i]) if sum == 100: memory.sort() break; sum = 0 memory = [] for i in range(7): print(memory[i]) 분명 누군가는 나보다 훨씬 짧고 빠르게 풀 수 있겠지..
포스팅에 앞서 내용이 틀릴 수 있습니다. 해당 부분 지적 감사히 받습니다. 문제를 보자. 최대 공약수는 금방 구했다. 하지만 최소 공배수에서 조금 난관이 있었다. 코드 array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max_val = 0 min_val = 1 memory = [] for i in range(1,min(array)+1): if (array[0] % i ==0 and array[1] % i == 0): max_val = i print(max_val) for i in range(2,max(array)): while array[0] % i ==0 and array[1] % i ==0: array[0] = array[0] // i array[1] = array[1] // i ..
포스팅에 앞서 내용이 틀릴 수 있습니다. 해당 부분 지적 감사히 받습니다. 문제를 보자. 기분이 좋다. 처음으로 dp문제를 스스로 풀었다. 시간 또한 굉장히 짧았다. 제출하고 채점하는 동안, 사실 엄청 쉬운 문제면 어떡하지 걱정했다. 채점이 끝나고 실버 2 등급이 떴다. 기분이 좋았다. 누군가에겐 우스워 보일 수 있는 문제지만, 나는 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함으로 충분히 기뻤다. 더 열심히 해야겠다. 코드 a= int(input()) array=[] dp=[-1000] * (a+1) array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for i in range(a): if i == 0: dp[i] = array[0] dp[i] = max(array[i],dp[i-1]+array[i]) p..
포스팅에 앞서 내용이 틀릴 수 있습니다. 해당 부분 지적 감사히 받습니다. 문제를 보자.문제를 보자마자, 이전에 풀었던 계단 오르기 문제가 생각났다. 하지만 계단 오르기 문제에서는, 마지막 계단을 반드시 밟아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있었기에, 기준점을 잡고 풀 수 있었다. 이번 문제는 해당 조건이 없어 당황했다. 배우는 입장에서 여러 타입의 문제가 나올수록 좋다. 당장 느끼는 감정은 답답하지만, 훗날을 위해. 이번 문제를 풀며 가장 막힌 건, 패턴 찾기보단, 배열의 크기 선언이다. 코드 a= int(input()) array=[0] * 10000 dp=[0] * (a+2) for i in range(a): array[i] =int(input()) dp[0] = array[0] dp[1] = array[0]..
포스팅에 앞서 내용이 틀릴 수 있습니다. 해당 부분 지적 감사히 받습니다. 문제를 보자. 문제를 풀기 전에 먼저 정답 비율이 눈에 들어왔다. 지레 겁을 먹고 문제를 읽었다. 못 풀었다. 처음에는 dp 문제인 줄 알았다.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dp로 풀리지 않았다. 그래서 정답을 참고했다. bfs란다. 코드 import sys input=sys.stdin.readlin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,k=map(int,input().split()) max_num=100000 visited=[0]*(max_num+1) def bfs(): q=deque() q.append(n) while q: x=q.popleft() if x==k: print(visited[x]) break fo..
포스팅에 앞서 내용이 틀릴 수 있습니다. 해당 부분 지적 감사히 받습니다. 문제를 보자. 많이 고전했다. 나는 알고리즘을 짤 때, 가능한 짧은 논리로 짜야한다고 생각한다. 조금이라도 코드가 길어지거나, 삽입하는 연산이 많아질수록 찝찝한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. 하지만 이번 문제를 풀고 생각을 바꿔야겠다고 느꼈다. 코드 a = int(input()) array = [] def summ(i,n): if n == 0: array[i][n] = int(array[i-1][n])+int(array[i][n]) elif n == len(array[i]) -1: array[i][n] = array[i][n] + array[i-1][n-1] else: array[i][n] = max(int(array[i-1][n-1])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amron3
- 프로그래머스 상품을 구매한 회원 비율 구하기 파이썬
- java
- 백준 피보나치 수열
- 코딩테스트
- 프로그래머스 상품을 구매한 회원 비율 구하기
- 자바
- 백준
- ys.k
- static
- 스프링
- samron
- 김영한 실전 자바 기초
- los 15
- 백준 피보나치
- lord of sql
- spring
- 코딩테스트 준비
- 상품을 구매한 회원 비율 구하기 파이썬
- webhacking.kr
- 김영한 실전 자바 기본
- extends
- zixem
- 김영한 실전 자바 중급
- 김영한
- 기술스택
- Los
- 프로그래머스
- los 15단계
- 상속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